-
[JVM] Java의 실행
JVM에서 Java가 어떻게 실행이 되는지 알아보겠다.
-
[JVM] JVM?
JVM은 도대체 어떤 녀석인지 간단하게 알아보자
-
내가 느낀 모노이드(monoid), 모나드(monad) 그리고 펑터(functor) - 마지막 모나드(Monad)
내가 느낀 모노이드(monoid), 모나드(monad) 그리고 펑터(functor)의 마지막! 모나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. 첫번째 모노이드(Monoid), 두번째 펑터(Functor)에 이어서 마지막 모나드이다.
-
내가 느낀 모노이드(monoid), 모나드(monad) 그리고 펑터(functor) - 두번째 펑터(Functor)
내가 느낀 모노이드(monoid), 모나드(monad) 그리고 펑터(functor)의 두번째 펑터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. 첫번째 모노이드(Monoid)에 이어서 두번째다
-
내가 느낀 모노이드(monoid), 모나드(monad) 그리고 펑터(functor) - 첫번째 모노이드(Monoid)
새로운 회사로 이직하면서 기존보다 더 체감되기 시작한 모노이드, 모나드 그리고 펑터 이것들에 대해서 내가 느끼고 이해한 것을 설명하려고 한다.
-
Functional Programming 함수형 프로그래밍
올해 4월 정든 회사를 떠나 새로운 회사로 이직을 하였다. 이직한 새로운 회사에서는 함수형 패러다임을 이용한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. 그렇다면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무엇일까?
-
First Class in Scala[스칼라의 first class]
이전에 썼던 Clousre in Scala 에서 말했듯이 JavaScript를 비롯한 여러 Functional Programming paradigm을 지원하는 언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First class 는 어떤 걸 말하는 걸까?
-
Closure in scala[스칼라에서의 클로저]
JavaScript를 비롯한 여러 Functional Programming paradigm을 지원하는 언어에서 쉽게 볼 수 있는 Closure가 scala 에서는 어떤 모습일까?
-
covariant와 invariant (공변과 불변)
FP의 covariant와 invariant는 무엇일까?
-
부분 적용 작업을 수행하는 고차함수
스칼라에서 공부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을 풀이했다. 부분적용(Partial Application)을 수행하는 고차함수이다.
-
스칼라의 문법[맛만보기]
최근부터 스칼라에 관심이 생겨 스칼라에 대해서 공부 중이다. 간단한 예시를 통해 살짝 살펴보자.
-
순수함수
함수형 프로그래밍의 순수함수는 무엇일까? 한 번 알아보자